카테고리 없음

전기레인지 전기절약방법 전기세 절약 꿀팁 공개

하리마우1 2022. 12. 23. 19:04
728x90
반응형

요즘 가정 내 필수 가전제품으로 자리 잡고 있는 인덕션 또는 하이라이트라고 불리는 전기레인지입니다.

가스레인지보다 안전하고 유해가스 배출이 없어 건강상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으며

화력 또한 좋아서 요리 시 매우 편리하죠.

하지만 가격대가 비싸고 관리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문제점들은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우선 첫 번째 방법으로는 전용 세제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상판을 닦아주는 것입니다.

이때 스크래퍼나 행주로 닦으면 스크래치가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두 번째 방법으로는 타이머 기능을 활용하는 것인데요.

일정 시간 동안만 작동하도록 설정하면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 세 번째 방법으로는

화구 크기 조절기능을 통해 조리도구 사이즈에 맞게끔 적절히 불세기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이것 외에도 열효율성이 높은 냄비를 사용하거나

적정 온도 도달 후 자동으로 꺼지는 기능 및 잔열 표시 기능 등

유용한 기능들이 많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우리 집 주방 잇템이자 효자 노릇 톡톡히 하고 있는 전기레인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생소하던 단어였지만 이제는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을 만큼 보편화되었다.

나 역시 작년 이맘때쯤 이사 오면서 설치했는데 지금까지 아주 만족스럽게 잘 쓰고 있다.

일단 디자인이 깔끔해서 마음에 든다.

군더더기 없이 심플한 화이트 컬러라서 어디에 놓아도 잘 어울린다. 뿐만 아니라 청소하기도 간편하다.

그냥 행주로 쓱싹쓱싹 문지르면 끝이니까 말이다.

물론 가끔 기름때가 눌어붙거나 탄 자국이 생기면 전용 세제를 이용해 깨끗이 제거해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얼룩덜룩 보기 흉해지기 때문이다. 또 하나 좋은 점은 화재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다는 것이다.

아무래도 가스레인지보다는 덜하지만 그래도 항상 조심해야 하는 건 마찬가지다. 만약 깜빡 잊고 외출했을 때 갑자기 과열되면 큰일이기 때문이다.

다행히 이건 전원 버튼을 끄면 알아서 차단되기 때문에 안심된다.

다만 아이 키우는 집에서는 잠금장치를 반드시 해두어야 한다.

호기심 많은 아이들이 무심코 만졌다가 화상을 입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장점이 많지만 굳이 꼽자면 빠른 가열 속도와 강력한 화력 정도랄까?

확실히 가스레인지와는 비교 불가다. 물 끓는 속도부터가 차원이 다르다.

덕분에 라면 끓일 때만큼은 세상 편하다.

 


P.S

1년 전 이사를 하면서 큰맘 먹고 새 아파트에 입주했다.

새집이라는 설렘도 잠시, 예상치 못한 난관에 부딪혔다.

기존에 쓰던 가스레인지 대신 새로 구입한 인덕션 레인지가 말썽을 부린 것이다.

설치 기사님 말씀대로 전원 버튼을 눌렀는데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

몇 번이고 반복해도 마찬가지였다. 나중엔 아예 켜지지도 않았다.

서비스센터에 전화했더니 방문하겠다고 했다. 며칠 뒤 직원이 와서 보더니 불량이라며 교환해주겠다고 했다.

다행히 금방 처리되어 한시름 놓았지만 만약 계속 방치했다면 어땠을까?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그날 이후 난 매일같이 인터넷 검색을 하며 정보를 수집했다.

그러다가 우연히 관련 카페를 발견했는데 나처럼 고장 나서 수리 받은 후기글이 올라와 있었다.

내용을 살펴보니 나와 비슷한 증상이었는데 A/S 기간이 지났다는 이유로 유상 수리를 받았다는 것이다.

순간 화가 치밀었다.

아니, 무슨 전자제품이 이렇게 허술한가 싶었다. 물론 모든 제품이

그렇다는 건 아니지만 적어도 기본적인 품질 관리는 제대로 해줘야 하는 거 아닌가?

아무튼 이대로 가만히 있을 수만은 없어서 고객센터에 항의 글을 남겼다.

그러자 다음날 본사 담당자가 연락을 해왔다.

자초지종을 설명하자 죄송하다며 무상수리를 약속했다. 그러고는 곧바로 부품을 교체해주었다.

덕분에 지금은 아무 문제없이 잘 쓰고 있다.

이번 일을 계기로 느낀 바가 크다. 비싼 돈 주고 산 만큼 제값을 하려면

그만한 사후관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말이다.

반응형